국민대학교

언론속의 국민

故 최종욱 교수 1주기 맞아 유고집 출간


2002년 9월 16일(월) - 중앙일보 -


"현실 외면하는 철학 반성하라" 한국 지식사회에 던진 마지막 일갈
"치열한 문제의식 없이 사변적 사상만 매달려 인문학의 위기 자초"

"철학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현실을 외면했던 인문학이 한국의 현실로부터 외면당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포스트주의는 패배주의와 허무주의의 극단적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
지난해 8월 오십 나이로 타계한 최종욱(국민대.철학)교수가 병마와 사투를 벌이면서 우리 철학.인문학, 나아가 우리 지식사회에 던진 치열한 비판들이다.
.
지인들은 13일 최교수의 유고집 '이 땅에서 철학하는 자의 변명'(사회평론사刊)을 출간하면서 1주기 추모행사를 서울 출판문화회관 3층에서 연다.
.
철학적 논객이던 최교수가 생전에 고민했던 것은 유고집 제목처럼 '이 땅에서 철학함'이었다. 그가 이런 화두에 몰두한 것은 우리 철학이 현실을 외면한 채 서구 사상의 수입에만 골몰해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
이 때문에 최교수는 철학의 주체성 확립에 소홀한 강단철학에 대해 치열한 비판을 가했다.
.
유고집에서 그는 이정우(당시 서강대 철학과 교수)박사 등 실명을 거론하며 비판의 잣대를 들이댄다. 최교수는 '포스트 주의'를 유포한 일군의 지식인에 대해 '주체의 죽음'이라는 유행에 빠져 '타자에 대한 저항의 불가능성을 정당화'하고 있어 정작 비판받아야 할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 학문에 식민성과 노예성이 있다며 질타하기도 했다.
.
이런 그의 시각은 당연히 인문학으로도 이어진다. 최교수는 인문학의 위기를 현실을 도외시한 인문학에 대한 '현실의 보복'이라 규정하면서 "학자들이 치열한 문제의식없이 사상가에 대한 독점권을 행사하며 사변적인 사상과 이론에 매달려온 결과"라고 진단했다.
.
특히 그는 이같은 인문학의 위기 원인을 IMF 이후 우리 사회에 만연한 신자유주의에 그 책임을 전가하려는 인문학자들의 지배적 시각에 대해서도 '자기 반성을 포기한 것'이라며 비판의 끈을 놓치지 않는다.
.
오히려 그는 "'인문학의 위기'라는 주제 하에 자기 밥그릇 걱정부터 하는 지식인의 알량한 태도"를 지적한다. 현재 우리 철학계에서 주요 논객으로 활동 중인 윤평중(한신대.철학)교수, 이진우(계명대.철학)교수 등의 '인문학 위기'에 대한 진단에 대해서도 비판의 칼을 들이댄다.
.
결과적으로 최교수는 인문학의 위기가 인문학자들 자신의 위기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바로 이 땅에서 철학하는 자의 자기 비판이 가장 시급한 과제임을 일러주는 셈이다.
.
최교수 비판의 철학적 배경에는 '자연과학과 구별되는 정신과학이 어떻게 삶과의 괴리를 극복할 것인가'를 고민한 독일의 철학자 빌헬름 딜타이의 철학적 문제의식이 깔려 있다.
.
독일의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근대를 반성하면서도 이성과 주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울리히 벡이나 앤서니 기든스의 '성찰적 근대화'도 이론의 저변을 이룬다.
.
특히 IMF 이후 지식인의 행태에 대한 최교수의 비판은 혹독하다. 그는 1980년대 비판적 지식인의 권력화 현상을 비판하면서 "IMF나 신자유주의를 비판하기 전에 스스로 반성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반성없는 지식사회, 그리고 그 반성마저 상업적으로 이용했던 일부 지식사회의 무책임을 여지없이 공격하고 있다.
.
그는 이제 더이상 우리 지식사회를 향해 일갈할 수 있는 말을 잃은지 1년이 됐다. 그렇다고 우리의 지식계가 그같은 비판으로 부터 자유로워진 것일까.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우선 그의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는 데서 시작해야 할지 모른다.
.
김창호 학술전문기자
.
2002.09.12 08:31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