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연구소 소개 Laboratory Overview

고전력밀도 및 고효율 전련전자 시스템
위한 회로연구

전력전자 분야는 전자 시스템의 전원공급기, 전동기 구동 장치 및 각종 전력을 조절 공급해 주는 고전적인 분야로부터 발전하여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통신용 중계기의 전원공급기, 친환경 발전인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충전기 및 모터 구동 회로도 전력전자의 연구 분야 중에 하나입니다.

현재도 그렇지만 미래에도 역시 위에서 설명한 전력전자 분야에 대한 산업체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전원공급기에 대하여 고전력밀도 및 고효율이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전력전자 분야의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체 및 국가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전력전자 분야의 국가 경쟁력에서 선두를 차지하는 연구소가 많이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소 “국민대학교 전력전자 연구소”는 각종 전자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를 이루는 전력전자 회로 시스템의 연구 능력을 극대화하여,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첨단 기술을 개발 제공하고 고급 기술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여 국가의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력전자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소들과 경쟁함으로써 국민대학교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노정욱 연구소장 노정욱 교수

주요 연구 분야

  • 미래형 전기자동차의 전력전자 회로 시스템 연구
  •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공급기 회로 연구
  • 친환경 발전 시스템의 발전기 회로 연구
  • 모듈형 전원공급기 연구
  • 시스템 전력장치 연구

주요 연구 실적

  • kW급 BESS를 복합 연동한 계통 ESS용 인버터 기술 개발
  • 태양광 MPPT 모듈 개발
  • 6.6kW 완속 충전기(OBC) 개발
  • 16채널 Local Dimming용 전력회로 개발
  • Boost Driverless Flyback Direct LED 구동 Topology 개발
  • Flicker Free Dimmer 호환형 MR16 LED Driver 개발
  • 에너지-IT 융합 핵심기술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 SMPS의 뇌 서지 보호를 위한 모델링 연구
  • TRIAC-Dimmer 호환 LED 조명 파워 개발
  • 이상적인 파워 커브를 가지는 STR형 풍력 발전 시스템 개발
  • 전원 회로의 서지 보호 대책에 관한 연구
  • 형광등 대체용 LED 구동회로 개발
  • 24W급 고효율 LED 드라이브 개발
  • L社向 프린터용 HVPS 개발
  • 고효율 및 저가형 PoE용 SMPS 개발
  • 40W급 고효율 2채널 LED 구동회로 개발
  • Power Line Filter 최적화를 위한 설계 가이드에 관한 연구

소속 연구원 명단

소속연구원명단
성명 직책 소속 및 직위
홍성수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장병준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한상규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정일엽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부교수
이수찬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조교수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s system for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 density

Research areas

  • Development of power system for future electric vehicles
  • Design of power supply circuits for display system
  • Research on generator for Eco-friendly system
  • Study on modular power supply unit
  • Technology for High-Efficiency power conversion system

Funding sources

  • MOE(Ministry of Education), Korea, under the BK21PLUS support program, etc

Selected Publications

  • Cheol-Hee Yoo, Il-Yop Chung, Hyun-Jae Yoo and Sung-Soo Hong, “A Grid Voltage Measurement Method for Wind Power Systems during Grid Fault Conditions”, Energies 2014, Vol. 7, pp.7732-7745, 2014
  • Yong-Chul Lee, Hong-Kwon Kim, Jin-Ho Kim and Sung-Soo Hong, “A Study on Implementing a Pahse-Shift Full-Bridge Converter Employing an Asynchronous Active Clamp Circuit”,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Vol.14, No.3, pp.413-420, 2014
  • Cheol-Hee Yoo, Il-Yop Chung, Hak-Ju Lee and Sung-Soo Hong, “Intelligent Control of Battery Energy Storage for Multi-Agent Based Microgrid Energy Management”, Energies 2013, Vol. 6, pp.4956-4979, 2013
  • J.Jang, M.Joung, B.Choi, S.Hong, S.Lee “Dynamic analysis and control design of optocoupler-isolated LLC series resonant converters with wide input and load variations”,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5, No.6, pp.755-764, 2012

Research members

Research members
Name Status Department
Hong, Sung Soo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Roh, Chung Wook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Jang, Byung Jun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 Sang Kyu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 Il Yop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자동차 산업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결합을 위한텔레매틱스 연구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Telecommunication과 Informatics의 합성어로 간단하게는 위치정보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차 운전자에게 교통정보 안내, 긴급구난 정보를 제공하고, 동승자에게는 인터넷, 영화, 게임 등의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러한 텔레매틱스 서비스가 실현되면, 유무선 통신 및 방송망을 통하여 자동차를 현재의 사무실과 가정에 이은 제3의 인터넷 공간(Connected Car)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종 통신 방송망과 지능형 단말기를 통해 홈네트워크, 사무 자동화 등과 연계함으로써 가정과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자동차에서도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자동차 산업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텔레매틱스 산업의 선도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에서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중의 하나인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기술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소에서는 이러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인 서버기술, 차량내의 유선 및 무선통신 기술, 차량 외부의 무선통신기술, 텔레매틱스 전용 SoC 기술, 그리고 텔레매틱스 단말 소프트웨어 플랫폼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장영민 연구소장 장영민 교수

주요 연구 분야

  • 텔레매틱스 분야의 산학협동 연구를 통한 기술개발
  • 외부기관과 기업체로부터의 위탁연구
  • 각 기업체에 대한 기술상담 및 연구
  • 대학과 대학원생 및 산업체를 위한 전문기술교육
  • 학술교류 증진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 초청 세미나 및 학술회의 개최
  • 연구지 발행 연구발표회 및 강습회 개최
  • 정학제간 공동연구와 교육을 위한 과제 및 교과 개발

소속 연구원 명단

소속 연구원 명단
성명 직책 소속 및 직위
김기두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안현식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강동욱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박영일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민경식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정경훈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정구민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김대환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문찬우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최선웅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주민철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부교수
이승민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조교수
Telematics research to combine automobile industry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elematics represents a combined word of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cs. As a multimedia service for vehicles, i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raffic guidance and emergency rescue information to the driver and also provides the infortainment (internet, movie, game, etc.) service to the passeng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When the telematics service is realized, it is possible to reconfigure the automobile as a third internet space (connected car) following the current office and the home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linking with home network and office automation through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lligent terminal, services used in home and office can be seamlessly provided to the vehicles. At present, Korea is in the best condition to become a leading country in the telematics industr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world-class automobile industry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various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plans for the activation of telematics services, which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industries.

The research center conducts research on core technologies such as server technology,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of inside the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V2X(vehicle to everthing), SoC technology, and software platform technologies for telematics.

Research areas

  •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in the fields of telematics
  • Commitment research from outside institutions including companies
  • Technical consultation and research for companies
  • Professional technical training for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and industry
  • Seminars and conferences for invited experts from Korea and abroad to promote academic exchanges
  • Research paper publication
  • Development of subjects and curriculum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ducation
정보통신분야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파집적회로 기술의 공동연구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동통신, 위성통신 및 방송, 디지탈 이동통신 및 차세대 개인용 통신망(PCN)등의 무선을 이용한 통신수요는 확산 일로에 있는 가운데 무선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자원의 고갈로 인해 마이크로파 대역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대략 1GHz정도 이상의 주파수대에서 GaAs 반도체 기판상에 반도체 프로세서 기술에의해 일괄 구성하는 MMIC기술은 1980년대에 선진국에서 본격화되어 최근 상용화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앞으로 통신에 국한되지 않고 다방면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MMIC는 고도의 반도체 제조기술과 RF회로 설계기술이 복합된 첨단기술로서 이제까지 국내의 기업체와 연구소에서 생산공정의 안정화에 주력하여 왔으며 한국전자통신 연구소에서는 Foundary Library를 발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국내 Foundary를 이용한 고부가 가치와 경쟁력확보에 필요불가결한 MMIC설계 기술에 관한 연구 개발을 선도할 목적으로 1993년 4월 1일자로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본 연구소는 정보통신분야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파 집적회로 기술의 공동연구개발과 정보통신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오하령 연구소장 오하령 교수

주요 연구 분야

  • 보통신기술발전에 필요한 조사연구 및 기술지도
  • RF/MMIC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 외부기관과 기업체로부터 위탁된 연구
  • 기업체에 대한 기술상담 및 연구
  • 기타 본 연구소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사업

주요 연구 실적

  • CATV용 광대역 증폭기 특허분석연구 (전자부품 종합기술연구소, 1993. 4~1993. 9)
  • MMIC 2단 저잡음 증폭기 설계 및 FET비선형 파라미터 추출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1993. 4~1993. 7)
  • 2.5 GHz Wireless LAN 용 MMIC수신모듈 설계 기초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소, 1993. 4~1993. 11)
  • Wireless LAN 기기 개발 (체신부, 1993. 7~1994. 6)
  • CATV 증폭기의 성능평가방법 연구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1994. 1~1994. 12)
  • 무선인식요소기술 개발 (한국교통연구원, 2007. 12~2008.09)
  • 원격 에너지 공급 Chain 기반 자기유지 지원 SoC 및 센서노드 플랫폼 기술 개발 (전자부품연구원, 2009. 06~2013. 05)
  • SSEV 특화 인문인력 양성 사업(교육부, 2013. 09~)

소속 연구원 명단

소속 연구원 명단
성명 직책 소속 및 직위
성영락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박준석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교수
김지혜 상임연구위원 전자공학부 조교수
Joint research of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us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Research areas

  • Research and technical guidanc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ICT
  • Study on RF / MMIC design technology
  • Research commissioned by external agencies and companies
  • Technical consultation and research for companies
  • Others Projects need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institute

Funding sources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Major Research Results

  • Fundamental Study on MMIC Receiver Module Design for 2.5 GHz Wireless LAN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r. 1993 ~ Nov. 11)
  • Developed Wireless LAN device (Ministry of Communications, 1993. 7 ~ 1994.6)
  •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CATV amplifier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1994. 1 ~ 1994.12)
  • Development of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Korea Transport Research Institute, 2007.12 ~ 2008.09)
  • Development of self-maintenance SoC and sensor node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remote energy supply chain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2009. 06 ~ 2013. 05)
  • SSEV specialized human resource training project (Ministry of Education, 2013. 09 ~)

Research members

Research members
Name Status Department
Seong Yeung-Rak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Park, Joon-Seok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im Ji-hye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이용한 일주기
ICT연구센터

인간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또는 행동학적 활동들의 활성은 지구자전주기 즉 24시간 일주기의 주기성을 가지며, 적절한 자연광에 노출된 환경에서는 인체에 존재하는 생체시계에 의해 신경전달과 수면각성, 혈압, 심박수, 호흡수, 호르몬 분비 등 생리현상리듬, 장기와 근육, 뼈의 신진대사 등이 주기적으로 조절됩니다. 그러나 현대인의 잦은 야간 근무와 휴대폰 등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 빛 공해, 생체리듬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조명 등은 발전하는 현대 문명과 기술의 어두운 단면이며, 이로 인한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 교란으로 수면장애, 불면증, 우울증, 관련 고도 질병 등에 노출된 잠재적 인구는 전 세계의 1/3 규모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이용한 일주기 ICT 연구센터 (Hybrid Device-based Circadian-ICT (C-ICT) Research Center)는 현대인의 일주기리듬 교란으로 인한 질환들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가 느끼는 일주기 조도 및 생체신호를 24시간 측정하고 이를 정상인 데이터와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광치료를 수행함으로써 일주기리듬 교란을 회복시키는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및 정보통신기술 환경을 구축하고자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6년 6월에 출범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하이브리드 소재 및 소자, 회로를 기반으로 스마트패치형 센서, 광치료용 초소형 LED 내장 안경, 스티커형 사물인터넷 센서 등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와 일주기 리듬 교란 정도를 분석하고 정상화하기 위한 빅데이터 및 알고리즘, 딥러닝,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이 함께 연구개발될 것입니다.

따라서 본 센터의 연구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반도체 전자소자 및 광소자, 실리콘과 비실리콘 소재, 에너지 소재 등을 망라한 명실상부한 다학제간 융복합 연구라 할 수 있겠습니다.

김대환 연구소장 김대환 교수

주요 연구 분야

  • 일주기 리듬 강화를 위한 S/W 플랫폼-빅데이터-알고리즘-통신-신호처리
  • SW플랫폼-빅테이터-자율제어-통신-회로연구
  • 하이브리드 공정-소자-회로 기술 연구
  • 일주기 리듬 강화용 하이브리드 광전 소자 및 소재 연구
  • 하이브리드 광전소자 및 소재 연구
  • 패키징, 산업화 기술 및 표준화 연구

주요 연구 실적

  • 센서 통신 간 활용 가능성 있는 프로토콜 특성 검토
  • 다양한 플랫폼에서 BLE 프로토콜의 적용 가능성 확인
  • 하이브리드 디바이스 기기의 효율적 에너지 사용방법
  • 멀티홉 환경에서 간섭에 굳건한 BLE 신뢰적 통신 기술 설계
  • BLE에서 야기되는 보안 이슈 및 해결책 모색
  • 다중 웨어러블 센서의 적용 기술 확보
  • 사용자 위치 및 상태 측정 기술 확보
  • 수면 관련 임상 데이터의 확보
  • 일주기리듬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 확보
  • EMI 감소를 위한 대역확산 클록 발생기 회로 설계 및 검증
  • 일주기 치료용 LED 구동을 위한 회로의 원리 규명
  • 다중 LDO 레귤레이터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
  • 임베디드 DRAM의 설계
  • 고신뢰성, 고안정성, 고성능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대면적,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반도체 라인에 맞는 공정 기술 개발 및 동작 특성 확인
  • 공정 변수의 특성 분석과 모델링을 통한 소자의 구조 최적화
  •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저비용의 반도체 공정 기술 개발
  • 유연기판 위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네트워크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고신뢰성, 고안정성, 고성능의 IGZO 소자 제작 공정 기술 확보
  • IGZO 광센서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IGZO 온도센서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Si 나노선 바이오센서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일주기리듬 강화용 패치의 광 환경에 대한 시나리오 개발 및 인체에 적용할 전략 개발
  • 일주기 조도계 평가 분석 전략 개발
  • 일주기리듬 측정 센서용 광필터 제조
  • 일주기조도계 제작 및 평가
  • 멜라토닌 억제 지수 평가 법 개발
  • 안경형 일주기리듬 강화소자 전략 개발
  • 안경형 일주기리듬 강화소자용 광자극 LED 광원 연구
  • 초소형 LED 제작 공정 최적화
  • LED 면발광 사이즈 0.2 x 0.2 cm2 구동
  • 슈퍼커패시터용 유무기 전극소재 합성기술 개발 및 나노구조화
  • 패치 및 스티커 적용을 위한 유연 슈퍼커패시터 기술 탐색
  • 열전성능 측정기술 확립
  • 유연기판 위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네트워크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고신뢰성, 고안정성, 고성능의 IGZO 소자 제작 공정 기술 확보
  • IGZO 광센서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IGZO 온도센서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Si 나노선 바이오센서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일주기리듬 강화용 패치의 광 환경에 대한 시나리오 개발 및 인체에
    적용할 전략 개발
  • 일주기 조도계 평가 분석 전략 개발
  • 일주기리듬 측정 센서용 광필터 제조
  • 일주기조도계 제작 및 평가
  • 멜라토닌 억제 지수 평가 법 개발
  • 안경형 일주기리듬 강화소자 전략 개발
  • 안경형 일주기리듬 강화소자용 광자극 LED 광원 연구
  • 초소형 LED 제작 공정 최적화
  • LED 면발광 사이즈 0.2 x 0.2 cm2 구동
  • 슈퍼커패시터용 유무기 전극소재 합성기술 개발 및 나노구조화
  • 패치 및 스티커 적용을 위한 유연 슈퍼커패시터 기술 탐색
  • 열전성능 측정기술 확립

소속 연구원 명단

소속 연구원 명단
성명 직책 소속 및 직위
김대정 핵심연구원 전자공학부 교수
정구민 핵심연구원 전자공학부 교수
최선웅 핵심연구원 전자공학부 부교수
김동명 핵심연구원 전자공학부 교수
최성진 핵심연구원 전자공학부 조교수
이승민 핵심연구원 전자공학부 조교수
도영락 핵심연구원 응용화학과 교수
김형민 핵심연구원 응용화학과 부교수
임상규 핵심연구원 응용화학과 부교수
장성연 핵심연구원 응용화학과 부교수
정인환 핵심연구원 응용화학과 조교수
김종권 핵심연구원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양은호 핵심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조교수
Hybrid devices ICT Research Center

Hybrid Device-Based Circadian ICT (C-ICT) Research Center of Kookmin University which is located at the foot of Mt. Bugak was open in June 2016 by the financial support with ERC (Engineering Research Center) project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he goal of C-ICT Research Center is establishing the intelligent wellness-care/healthcare ICT platform which recovers the circadian rhythm disorder, e.g., insomnia and depression induced by a frequent night duty, the abuse of cellular phone, and light pollution. Detailed purpose is cultivating the C-ICT circumstance/infrastructure which measures the bio-signal of user in real time, analyzes it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and finally recovers the bio-signal within the normal range by using a customized light therapy.

In this process, a variety of high-level technologies, such as a big data, algorithm for analyzing a circadian rhythm, software platform, deep learning, and hybrid devices, e.g., circadian glasses, smart patch, nano-LED, and IoT sticker, will be studied and developed.
Therefore, the C-ICT is really a multidisciplinary and of convergence subject including hardware, software, wearable healthcare, IoT, artificial intelligence, semiconductor devices and integrated circuits, display, LED, non-silicon technology, and energy-harvesting.
If the C-ICT platform is successfully established, a new market and huge value added will be created with the synergy effect of Korea-driven technology, such as semiconductors, displays, and communications.

Furthermore, the C-ICT platform will potentially contribute to a national welfare and paradigm change of healthcare/wellness-care by enhancing a circadian rhythm.

Research areas

  • Group 1: SW-communication-signal processing-big data-analysis
  • Group 2: Hybrid fabrication process-devices-circuits
  • Group 3: Opto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 Commissioned Group: Packaging-industrialization-standardization

Funding sources

  •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Ten companies (PSI, Y.K.Glass, Fine MEC ect.)

Research areas

  • Flammable carbon nanotube transistors on a nitrocellulose paper substrate for transient electronics, Nano research, 2016
  • Geometrically controlled organic small molecule acceptors for efficient fullerene-free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16
  • Study of Perovskite QD Down-Converted LEDs and Six-Color White LEDs for Future Displays with Excellent Color Performance,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6

Research members

Research members
Name Status Institution
Kim, Dong Myong Researche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
Choi, Sung Jin Researche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
Kim, Daejeong Researche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
Jeong, Gu Min Researche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
Choi, Sun Woong Researche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
Lee, Seung Min Researcher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Kookmin Univ.
Kim, Jong Kwon Researcher School of Computer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Yang, Eun Ho Researcher School of Comput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Do, Young Rag Researcher Dept. of Applied Chemistry, Kookmin Univ.
Kim, Hyung Min Researcher Dept. of Applied Chemistry, Kookmin Univ.
Yim, Sang Gy Researcher Dept. of Applied Chemistry, Kookmin Univ.
Jang, Sung Yeon Researcher Dept. of Applied Chemistry, Kookmin Univ.
Jung, In Hwan Researcher Dept. of Applied Chemistry, Kookmin Univ.
Mun, Jin Hee Researcher Osong Medical Innovation Foundation
Kim, Eun Young Researcher Osong Medical Innovation Foundation
Yim, Young Hun Researcher Osong Medical Innovation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