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국민인! 국민인!!

“금강산 비박하며 새벽 안개 자욱한 비로봉 그리고 싶어”/ 신장식(미술학부) 교수


25년간 ‘금강산’을 그려 20여차례 개인전을 해온 신장식 국민대 교수

날린다. 눈이 날린다. 금강산에 눈이 날린다. 그런데 눈이 흰색뿐이 아니다. 노랑, 파랑, 붉은 눈이다. 사계절 전혀 다른 옷을 입는 금강산이지만 내리는 눈은 여전히 화려한 색깔이다. 흰 눈이 쌓인 개골산(겨울)에도 삼 색의 눈이 날리고, 울긋불긋한 단풍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풍악산(가을)에도 삼 색의 눈이 날린다. 심지어 비가 내리고 짙은 운무가 낀 봉래산(여름)에도 삼 색의 눈이 날리고, 새싹이 싱싱하게 돋아나는 금강산(봄)에도 삼 색의 눈이 날린다. 삼 색의 눈이 날리는 금강산은 유쾌하다. 분단의 아픔이 있는 산이 아닌 통일의 희망을 듬뿍 머금은 산이다. 그래서 그가 그린 금강산이 판문점에 걸렸다. ‘금강산 화가’로 불리는 신장식(59) 국민대 교수는 “금강산은 통일로 가는 마지막 아리랑 고개”라고 말한다. 5일 그를 만났다.


지난 3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중구 회현동 금산갤러리에서 금강산의 사계절을 그린 <금강 12경> 전시회를 열고 있는 신 교수는 “마지막 아리랑 고개인 금강산을 누구나 넘어갈 수 있는 날이 곧 한민족 통일의 날”이라고 했다. 그리고 “그 아리랑 고개는 슬픔의 고개가 아닌 희망의 고개”라고 강조한다.


지난 4월27일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남북 정상회담장에 걸린 신강식 화가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그림을 배경으로 김정은(왼쪽) 국방위원장과 문재인(오른쪽) 대통령이 악수를 하고 있다.

신 교수의 금강산 그림은 지난 4·27 남북 정상회담 때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 걸려 두 정상이 그 그림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면서 새삼 크게 부각됐다. 2001년에 그린 가로 7m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에는 삼색의 눈이 진하게 흩날린다. 오방색 가운데 흰색과 검은색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색이다. 신 교수는 물감을 붓으로 뿌렸다. 하나 하나 정성껏 뿌렸다고 했다. 완성된 금강산 그림 위에 뿌려진 세 가지 색깔의 눈은 한민족의 금강산임을 확인시켰다.

서울대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신 교수는 금강산 관광이 열리기 훨씬 이전인 1992년부터 금강산을 그리기 시작했다. 한국적인 소재를 찾던 그는 비록 당시에는 직접 가지 못하는 산이었지만 금강산이 가장 한국적인 그림 소재라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뒤 25년간 금강산을 주제로 20여 차례 개인전을 열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미술 조감독을 담당했던 신 교수는 밤에 열린 폐회식에서 불 밝힌 청사초롱을 출전 선수와 관람객들에게 모두 나눠주고 흔들게 하는 퍼포먼스를 했다. 그 청사초롱을 판화로 그려 대한민국 미술대전(1989년) 대상을 받기도 했다. 또 한민족의 정서를 구체화하기 위해 민속적 소재 속에 숨은 조형언어에 관심을 가졌다. 청사초롱과 북, 징, 깃발 등의 소재로 ‘아리랑’ 테마를 풀어내는 작품활동을 했다. 그에게 아리랑은 한이 아니었다. 넘어야 한다는 의지였고, 그 너머에 있는 희망이었다. 그리고 마침내 찾은 한민족의 소재가 금강산이었다. 아리랑 고개가 남북한 한 가운데 있는 금강산이었다.

신 교수는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이 그린 <금강전도>와 김홍도의 화첩, 조선 후기 이름 없는 화가가 그린 금강산, 일제시대 일본인 사진작가가 찍은 금강산까지 수많은 금강산을 조사하고 연구했다. 특히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의 명을 받아 금강산을 여행하고 그린 해강 김규진의 <총석정도> 등을 자세히 보면서 금강산의 모습을 상상했다. “피카소가 스페인 내전을 주제로 그린 대작 <게르니카>도 피카소가 직접 보지 않고 그렸지만 많은 감명을 줍니다. 당시 직접 가보지 않았지만 기록을 통해 금강산을 보고 그 느낌을 그렸습니다.”
신 교수는 1993년 금강산을 주제로 처음 개인전을 열었고, 5년 뒤 고 정주영 현대 회장의 소떼 방북으로 금강산이 처음 개방됐다. 첫 출항하는 금강호에 탑승하기 위해 동해항으로 달려갔다. 그 후 10여 차례 금강산을 오르며 실제 금강산을 스케치하고 사진으로 담았다.


지난 3일부터 열고 있는 <금강 12경> 전시장에서 작품을 배경으로 선 신장식 화가.

그는 금강산에 삼 색의 물감을 뿌리는 이유가 금강산의 상서로운 기운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금강산의 서기다. “오방색 가운데 노랑색은 땅을, 파랑색은 나무를, 붉은 색은 탄생을 의미합니다. 또 하늘과 땅과 인간을 의미하고, 이 셋의 조화를 상징합니다. 농경사회부터 조화롭고 평화로운 삶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는 금강산의 23개 계곡 가운데 개방된 6곳은 모두 봤다고 한다. 나머지 17개 계곡도 하루 빨리 개방돼 금강산의 진면목을 누구나 볼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그래서 금강산에서 비박을 하며 새벽 안개가 자욱한 금강산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을 실제로 보며 그림을 그리는 것이 꿈이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861084.html#csidx5eb3efd28fe887190becbe7f89bc495